본문 바로가기
주요뉴스

트럼프 대통령의 새로운 관세 조치, 한국 기업은 어떻게 대비해야 할까?

by frodi 2025. 2. 5.
반응형

최근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 멕시코,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을 발표했습니다.

이번 조치는 펜타닐 밀반입과 불법 이주 문제를 이유로 시행되었으며, 국제비상경제권한법(IEEPA)을 근거로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번 결정이 국제 무역과 한국 기업에 미칠 파장이 커 보입니다.

그렇다면 이번 조치의 주요 내용과 영향, 그리고 한국 기업이 준비해야 할 점을 살펴보겠습니다.


1.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조치, 무엇이 달라졌나?

관세 대상과 시행 일정

  • 캐나다 & 멕시코: 2월 4일부터 시행될 예정이었으나, 한 달 유예 결정
  • 중국: 유예 없이 즉시 시행
  • 추가 관세율:
    • 에너지 및 에너지 자원: 10% 추가 부과
    • 그 외 대부분의 상품: 25% 추가 부과
    • 중국산 제품 전체: 10% 추가 부과

트럼프 행정부의 입장

트럼프 대통령은 "일시적인 물가 상승보다 국가 안보와 공정한 무역이 중요하다"며 강경한 태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EU(유럽연합)에 대해서도 추가적인 관세 부과를 시사하며 무역 갈등이 더욱 커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2. 중국의 대응과 무역전쟁 가능성

중국 정부는 즉각 반발하며 미국산 석탄, 천연가스(LNG), 원유, 농기계, 자동차 등에 대한 보복 관세를 예고했습니다. 또한 텅스텐, 텔루륨, 비스무트 등 핵심 광물의 수출 제한을 강화하면서 미국과의 무역전쟁이 심화될 전망입니다.

3. 한국 기업에 미치는 영향은?

미국 시장을 노리는 기업들, 직접 타격 가능성

미국 시장을 목표로 캐나다와 멕시코에 생산시설을 세운 한국 기업들은 한 달의 유예 기간을 받았지만, 이후 관세가 예정대로 시행되면 큰 타격이 예상됩니다. 특히 자동차, 반도체, 철강 업종이 주요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글로벌 시장 경쟁 심화

중국의 대미 수출이 위축될 경우, 중국 기업들이 한국을 비롯한 다른 시장으로 눈을 돌릴 가능성이 큽니다. 이렇게 되면 한국 기업과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이라는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

정부의 대응 움직임

한국 산업통상자원부는 민관 합동 태스크포스(TF)를 운영하며 대응 전략을 논의하고 있습니다. 기업들이 맞춤형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무역 리스크 최소화 방안을 마련할 예정입니다.

4. 법적 논란과 향후 전망

미국 내에서도 이번 조치가 IEEPA 법률에 맞지 않는다는 논란이 있습니다. 법원이 이를 위법하다고 판단할 가능성이 있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의회를 통해 입법을 추진할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또한 중국은 이번 조치가 세계무역기구(WTO) 협정을 위반했다며 제소를 예고했지만, 미국이 이를 무시할 가능성도 큽니다.

5. 한국 기업은 어떻게 대비해야 할까?

이번 조치는 단기적으로는 캐나다·멕시코 관세 유예로 다소 시간을 벌었지만, 장기적으로는 한국의 대미 수출 환경이 악화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기업들은 미국의 정책 변화를 주시하며 빠르게 대응할 준비를 해야 합니다. 정부의 지원책을 적극 활용하고, 수출 전략을 다변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앞으로도 글로벌 무역 환경의 변화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철저한 대비 전략을 마련해야 할 것입니다.

반응형